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이머시브 연극의 경험성과 매체성 연구

Authors
백영주
Issue Date
2015
Publisher
인문콘텐츠학회
Keywords
immersive theatre; immersion; virtual reality; theatricality; transmedia; 이머시브 연극; 이머전; 연극성; 가상현실; 형상; 트랜스미디어
Citation
인문콘텐츠, no.36, pp 109 - 136
Pages
28
Journal Title
인문콘텐츠
Number
36
Start Page
109
End Page
13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1062
ISSN
1975-4469
Abstract
2000년대 초중반을 기점으로, 공공 예술정책과 맞물려 도시재생 문화 사업이한창 추진되던 영국을 중심으로 형성된 ‘이머시브 연극’(Immersive theatre)은무대와 관객석의 경계가 와해된 공간적 환경을 제공하며, 관객이 직접 이동하며창발적으로 내러티브를 구성해가는 참여형 공연형태를 통칭한다. 이는 ‘환경극’(Environmental theatre)이나 ‘장소 특정적 공연’(Site-specific performance)등, 극장 제도와 언어 텍스트 중심의 공연 관습에서 탈피하기 위한 시도들과맥을 같이하면서도, 지난 10여 년 동안 디지털 융합기술을 중심으로 급변한 매체환경을 고스란히 투영해내고 있다. ‘이머전’(immersion)은 지각적인 동시에 심리적인 현상으로서, 경험자의 의식과 감각이 한 곳에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며 ‘지금 여기에’의 의미를 다중화(多重化)한다. 연극공연에서 ‘이머전’ 개념의 도입은 스마트 기기를 중심으로 소셜 미디어나게임 등, 사용자 중심의 디지털 인터렉티브 매체를 통해 매개되고 재편되고 있는동시대의 인지·감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개인 미디어와 모바일 콘텐츠의 발달은 집단성에 근간해왔던 연극의 수용 양상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공간인극장의 개념 또한 다변화되고 있다. 이머시브 연극은 전달기술로서 테크놀로지가 매개하는 현실을 능동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개별적 몸의 잠재성과 직접경험의 가치회복을 통해 관객을 창조주체로 상정하며, ‘가상현실’의 진정성과 연극 본연의 매체성을 되찾으려 하고 있다. 본 연구는‘이머시브’와 ‘연극’의 용어적 결합의 문제와 의미 분석을 통해, 트랜스미디어 시대의연극이 존재하는 방식과 그 가능성을 논하고자 한다.
Since the early mid-2000s, the emergence of immersive theatre which has been triggered through the nationwide promotion of the public arts policy and urban renewal projects in England is burgeoning: it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demarcation between the stageand the spectator is eliminated so that the spectator literally walks into the work, becoming a physical part of performance-making. Breaking away from the institution of languagebased dramatic texts, the immersive theatre, in a way, is the latest installment of‘environmental theatre’ or ’site-specific performance’. In this context, it delineates thesensorimotor experiences and the physicality of location. However, ‘immersion’ astransphysical phenomenon, the conflicting terminology of ‘immersive theatre’ reflects themajor paradigm shift in human experiential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digital media overthe last decades. The employment of the very notion of ‘immersion’ as a governing device of theatre-making postulates the theatre as an embodiment of contemporary experiences in the convergence-flux of mobile technology, media contents and personal devices. Woveninto the fabric of the daily life, it affects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theatre,diversifying its formation and modality. Immersive theatre paradoxically acknowledgestechnologically mediated reality as a leverage to revitalize the overused term ‘virtualreality’ as the authentic and the real.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operational logics and multimodality of immersive theatre as both concept and corporeal phenomenology with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transmedial environment.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Baik, Young Ju photo

Baik, Young Ju
예술대학 (공간연출)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