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변이할당기법과 DEA를 활용한 동북아시아 항만간 경쟁력 비교 분석

Authors
이충배권아림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항만경제학회
Keywords
Port Competitiveness; Northeast Asia; Port Efficiency; DEA; Shift-Share Analysis; Korea; China; Japan; Taiwan; Russia; 항만경쟁력; 동북아시아; 항만효율성; 변이할당분석; 한국; 중국; 일본
Citation
한국항만경제학회지, v.30, no.4, pp 219 - 254
Pages
36
Journal Title
한국항만경제학회지
Volume
30
Number
4
Start Page
219
End Page
25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2866
ISSN
1225-3855
Abstract
최근 글로벌화와 SCM의 발전으로 인한 국제무역량의 증가는 물동량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해운 항만 물류환경의 변화로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하역장비의 고성능화 항만운영의 글로벌화 및 급격한 기술의 변화가 해운항만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경쟁력의 우위를 확보하는 것은 이제 항만의 생존문제가 되고 있다. 항만 물동량이 많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우세한 경쟁력을 지닌 항만이라고 할 수 있으나 다른 항만에 비해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않으면 곧 경쟁력을 잃을 것이다. 반면에 특정시점에서 경쟁력이 낮은 항만일 지라도 효율성이 높은 항만은 경쟁력의 제고로 이어져 미래에는 우세한 항만이 될 수 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 항만간 물동량변화 추이 및 효율성 분석으로 항만경쟁력을 평가하여 국내항만의 경쟁력 제고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실증분석에서는 항만물동량 성장추이와 경쟁우위를 파악할 수 있는 Shift-share기법과 DEA로 항만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동북아시아 항만 총 21개로 하였으며, 두 기법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대상항만을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동북아시아 항만 간 경쟁력 위치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항만이 부산항은 여전히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반면 인천항과 광양항은 성장추세가 둔화되고 있기 때문에 마케팅의 활성화와 항로의 다변화, 인센티브 제도 적극실시 등을 통해 물동량 확보에 보다 집중해야 할 것이다.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globalization and supply chain management, growth of international trade has led to increasing cargo volume around the world. Since maritime logistics environments have changed, increased container ship size, improvement of harbor equipment, global port operation and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have had an significant effects on shipping and port industry, which is contributing to competitiveness of port. Since a larger volume of port throughputs are generally regarded as an indicator of the more competitive port, inefficient port operation could reduce its competitiveness. On the other hand, high efficient ports could increase their competitive power while increasing cargo volume.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competitiveness of the ports in the Northeast Asia by investigating changes of container throughputs and evaluating efficiency performance of ports. Shift-Share analysis and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have been conducted with 21 Northeast Asian ports and then separated them into 4 groups for comparative analysis toidentify competitive position of each 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cheon and Gwangyang port have been decreased container cargo volume, while volume of Busan port would increase by means of active marketing, various route development and incentive policy for the port.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Trade & Logist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Choong Bae photo

Lee, Choong Bae
경영경제대학 (국제물류 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