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자기효능감과 기업성과: 창업지향성과 창업경험의 역할Self-Efficacy and Firm Performance: The Role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Experience

Authors
이종건김현철안태항
Issue Date
Apr-2014
Publisher
한국경영학회
Keywords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ntrepreneurial Experience; Firm Performance; 자기효능감; 창업지향성; 창업경험; 기업성과
Citation
경영학연구, v.43, no.2, pp 561 - 586
Pages
26
Journal Title
경영학연구
Volume
43
Number
2
Start Page
561
End Page
58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3527
ISSN
1226-1874
Abstract
창업지향성과 창업경험은 자기효능감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과정 변수이다. 고위층이론에 의하면, 창업자들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들의 성격 특성을 조직역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업기업을 전략적으로 이끄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Carmeli, 2008). 선행연구들은 자기효능감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해 왔지만(Drnovsek & Glas, 2002; Hmielesky & Baron, 2008; Westerberg,Singh, & Häckner, 1997), 자기효능감이 어떤 과정을 통하여 기업성과를 높이고 있는지를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창업자의 특성 변수가 기업성과를 일관성 있게 설명하지 못함으로써 창업지향성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었다(Moruku,2013). 또한, 창업경험은 기업성과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으로써 제시되어 왔다(Lee & Tsang, 2001; Schiller &Crewson, 1997). 창업에 대한 경험적 요소는 불확실하고 사전 예측이 어려운 창업환경에 있어서 창업자에게 방향과 대안을 제공해주는 중요한 요인이다. 지금까지 연구들은 창업경험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만을 분석하여 창업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창업경험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에 대하여 간과해 왔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이 기업성과를 예측하는 기존의 연구모형을 확장하여 창업지향성 및 창업경험을 포함한 새로운 연구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창업성공을 정확하게 예측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효능감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창업지향성이 잠재적인 매개변수로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와 자기효능감-창업지향성-기업성과로 이어지는 프로세스에 있어서 창업경험이 조절변수로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 지에 대하여 규명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가설검증을 위하여 연구모형에 대한 경로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는146개의 창업기업을 운영하는 창업자들로부터 설문지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결과, 자기효능감과 창업지향성은 기업성과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지향성은 자기효능감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창업경험은 창업지향성과 기업성과 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창업지향성이 낮을 때보다 높고, 창업경험이 있을 때, 기업성과가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창업자의창업성공에 대한 예측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experience are useful as explanatory variablesin explaining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firm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upper echelontheory, CEO plays a critical role in shaping and positioning the organization strategically toachieve performance, using their personal traits of individuals to influence organizational dynamics(Carmeli, 2008). Although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self-efficacy had a positiveeffect on firm performance(Drnovsek & Glas, 2002; Hmielesky & Baron, 2008; Westerberg,Singh, & Häckner, 1997), there is limitation in explaining how self-efficacy influences firmperformance. Attention has been turned to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O) in explainingentrepreneurial performance (Moruku, 2013). Entrepreneurial experience has been suggestedas an useful explanatory variable to account for firm performance (Lee & Tsang, 2001; Schiller& Crewson, 1997). Little attention has been turned to the role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in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firmperformance relationship. The present study, therefore, developedthe new research model that include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experience,extending the current model that includes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firm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ntrepreneurialexperience, and firm performance. Data were collected from 146 entrepreneurs in Korea. Weused path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elf-efficacyon perceptual measures of firm performance, as well as how firm performance might be moderatedby entrepreneurial experienc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was used as the mediating variable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firmperformance. Entrepreneurial experiencewas used as the moderating variable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orientation firm performance. Results indicated that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were positively related to firm performance. Self-efficacy also influenced firm performancepositively through its effect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specially, entrepreneurial experiencestrengthen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firm performance.The authors discuss both the study'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Jong Keon photo

Lee, Jong Keon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서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