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행동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open accessA study on the influence of abusive supervision of superviso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uthors
임창현이희수
Issue Date
Aug-2013
Publisher
한국인력개발학회
Keywords
비인격적 감독 행동; 직무만족; 조직몰입; 혁신행동; 회복탄력성; 상사신뢰; abusive supervisi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novative behavior; resilience; trust in supervisor
Citation
HRD연구, v.15, no.3, pp 85 - 115
Pages
31
Journal Title
HRD연구
Volume
15
Number
3
Start Page
85
End Page
11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9639
DOI
10.18211/kjhrdq.2013.15.3.004
ISSN
1229-5086
Abstract
최근 조직 내 부하의 일탈과 반시민적 행동, 직무와 조직에 대한 만족도 저하, 심지어 이직에 이르기 까지 수많은 부정적 정서의 원인으로 상사에 의한 파괴적이고 부정적인 행동이 지목되면서 리더십의 어두운 측면으로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행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업무환경 조성과 리더십 개발, 조직문화 형성의 역할을 담당하는 인적자원개발 차원에서 부정적 측면의 리더십에 대한 이해와 실천적 대응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행동이 조직 효과성 차원에서 직무만족, 조직몰입, 혁신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살펴보고, 부하의 상사신뢰에 대한 매개효과와 부하의 회복탄력성(resilience)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93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행동은 부하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혁신행동과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행동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대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행동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에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으나 혁신행동에 대해서는 부하의 회복탄력성에 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행동으로부터 조직과 구성원을 보호하고 또 효과적인 리더십 개발을 위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abusive supervision’ as the dark side of leadership. The destructive and generally negative behavior of supervisors is cited as the reason behind the numerous negative emotions including deviant behavior, incivility towards members of an organization, decline of job and organizational satisfaction, and even high turnover rates.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negative effects of leadership in term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hich role is to build productive and efficient work environment, leadership development, and shape an organizational culture. For this study, we tested (1)the abusive supervision of supervis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2)trust in supervisors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abusive supervision of superviso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3) the subordinates' resilience showe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abusive supervision of superviso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393 out of 489 responses from Korean conglomerates' employe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busive supervision of supervisors had nega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Second, trust in the immediate bo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ird, employees’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Hee Su photo

Lee, Hee Su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