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긴장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정서 문제를 중심으로The effect of strain on juvenile delinquency: With a focus on emotional disturbance

Authors
양윤식김수민이태헌
Issue Date
May-2019
Keywords
KCYPS; juvenile delinqeuncy; general strain theory; latent profile analysis;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청소년 비행; 일반긴장이론; 잠재 프로파일 분석
Citation
한국청소년연구, v.30, no.2, pp 5 - 31
Pages
27
Journal Title
한국청소년연구
Volume
30
Number
2
Start Page
5
End Page
3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6325
DOI
10.14816/sky.2019.30.2.5
ISSN
1225-6366
Abstract
청소년기의 비행 행동에 대한 원인 파악과 대책 강구는 청소년의 비행 억제와 동시에 향후 성인기 범죄 예방 효과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반긴장이론(General Strain Theory)을 바탕으로 긴장과 비행 행동의 관계에서 정서 문제의 개인차에 초점을 맞추었다. 긴장은 정서 문제를 유발하고 이는 비행 행동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특히 청소년의 비행과 관련된 심리적 특성의 개인차 확인은 진단 및 향후 개입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활용하여 한국 아동 청소년 초4 패널의 6차 년도(중학교 3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정서 문제의 개인차를 다섯 가지 잠재 집단 형태로 도출할 수 있었다. 각 잠재 집단은 가장 긍정적인 정서의 ‘건강’, 주의집중력 문제와 공격성 문제가 두드러지는 ‘주의공격 우세’, 사회적 위축이 두드러지는 ‘위축 우세’, 가장 많은 청소년들이 포함되는 ‘보통’, 가장 많은 부정적 정서를 보고하는 ‘정서 문제’ 집단이다. 잠재 집단에 따라 긴장과 비행의 관계 양상은 달리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이 범하는 비행은 각 청소년이 가진 정서적 특성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반적으로 일반긴장이론을 지지하지만 그렇지 않은 결과도 도출되었다. 이는 긴장과 비행 행동의 관계 연구에서 정서 외 다른 요인들의 영향 역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비행 행동 연구를 위한 시사점과 적절한 후속 연구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Understanding the causes of juvenile delinquency and providing adequate solutions to them are important for retraining and preventing crime in adulthood.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General Strain Theor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in and delinquent behavior with a particular focus on emotional disturbance. We began from the assumption that,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can be helpful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 As a result of latent profile analysis of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we found five latent class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al disturbanc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in and delinquency varies by classes. Whilst our results at large support the general strain theory, a number of unexplained findings remain. It seems that emotion plays a crucial role in the link between strain and delinquency.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on juvenile delinquency are discussed and other methods and research ideas are suggested for future studies.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