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 플립드 러닝 학습 몰입 평가도구 개발Development of Student Engagement Scale for University Flipped Learning

Authors
송해덕홍아정김연경홍주연
Issue Date
Mar-2019
Publisher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Keywords
플립드 러닝; 학습 몰입; 평가도구 개발; flipped learning; student engagement; scale development
Citation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v.14, no.1, pp 23 - 51
Pages
29
Journal Title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Volume
14
Number
1
Start Page
23
End Page
5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6466
DOI
10.21329/khrd.2019.14.1.23
ISSN
1975-0323
Abstract
최근 플립드 러닝에 대한 관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실제 대학 현장에서 플립드 러닝의 활용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주요한 원인의 하나로 플립드 러닝의 성과가 무엇인지가 명확 하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플립드 러닝에서 강조하는 구성원 상호작용과 능동적인 학습이 학 습몰입과 관계된다는 측면에서, 학습 몰입은 플립드 러닝의 주요한 교육성과로 볼 수 있다. 그렇 지만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 학습몰입에 대한 측정은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플 립드 러닝의 수업단계를 고려한 학습 몰입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평가도구 개발을 위하여 먼저 플립드 러닝 및 학습 몰입 관련 선행연구와 교수자 및 학습자 인터뷰, 수업 관찰 등을 통해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대학생 45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 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성 타당도 분석, 신뢰도를 분석하여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이후 개발된 평 가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토하는 본조사에는 대학생 376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수 렴타당도,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총 10개 요인(학습 열정, 교실 밖 상호작용, 교실 안 상호작용, 사전학습내용 활성화, 학습내용 통합, 학습경험 만족, 메타인지 활용, 적극적 도움추 구, 학습계획 수립, 학습전략 활용), 41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플립드 러닝 학습 몰입 평가도구의 향후 활용을 중심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Despite the current attention on flipped learning (FL), FL is not largely adopted into university classes. One reason can be found that the educational outcome of FL is not clearly defined. Given that FL emphasizes active learning and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student engagement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outcomes for FL.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student engagement in FL class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for assessing student engagement for university FL. To do this, the factors and items were drawn from reviews of relevant literature and case studi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one university from Seoul, Korea. Fist, explan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collected from 458 university students to identify the factor of the instrument. Nex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from 376 university student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The derived 10 factors were as follows: Learning Enthusiasm, interaction outside the classroom, interaction inside the classroom, pre-class contents activation, contents integration, learning experience satisfaction, using meta-cognition use, help-seeking, planning for learning, and using learning strategie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suggested with discussions for future studies for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setting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Hae-Deok photo

Song, Hae-Deok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