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직활성화 교육이 구성원의 기본적 욕구,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Activation Education on Employees’ Psychological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uthors
조준희홍아정
Issue Date
Jun-2011
Publisher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Keywords
Organizational Activation Educa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조직활성화 교육; 기본적 욕구; 직무만족; 조직몰입
Citation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v.6, no.2, pp 65 - 80
Pages
16
Journal Title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Volume
6
Number
2
Start Page
65
End Page
8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6688
ISSN
1975-0323
Abstract
급변하는 시장경제에서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하여 기업들은 구성원의 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조직구성원의 소속감, 일체감 향상을 위해 많은 기업에서 조직활성화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조직활성화 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실시되고 있는 반면, 그 효과성은 검증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 내에서 실시하고 있는 조직활성화 교육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조직활성화 교육이 기업 조직원들의 기본적 욕구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국내 S전자 A사업장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조직활성화 교육을 받은 120명의 집단과 교육을 받지 않은 120명의 집단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육을 받은 집단이 기본적 욕구, 직무만족, 조직몰입에서 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조직활성화 교육이 기업 구성원의 기본적 욕구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심리적 욕구 중에서 유능감이 직무만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나 조직몰입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조직활성화 교육이 개인적인 직무 만족뿐만 아니라 고용 불안이나 기업 환경 변화 등 외부 환경변화에 구성원들이 조직에 집중할 수 있도록 개발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In order to take the lead on rapidly changing market economy, many companies are putting every efforts to maximize employees' ability. Among those efforts, many companies conduct activation education to improve employees' sense of belongingness and unity in their organization. Despite the efforts,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have shown the effectiveness of such education. Henc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activation education on employees' psychological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240 employees at S Electronics Inc.'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is formed with the employees who have participated in an activation education and the other group is formed with the employees who have not. The result of the study has shown that the average score of the participa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the non-participant group. The study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activation education affected employees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had inte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In particular, element of basic craving which affected job satisfaction showed competent feeling but it did not ha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is because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affected not only by personal reasons(family issue, psychological condition etc.) but also by external environment of enterprising(employment instability, enterprising form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ong, Ah Jeong photo

Hong, Ah Jeong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