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기업이미지와 유해제품관련도, 후원목적이 후원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Corporate Image, Harmful Items Relevance And Sponsorship Purpose on Sponsorship Effectiveness

Authors
허성호정태연차영란
Issue Date
Aug-2009
Publisher
한국자료분석학회
Keywords
기업이미지; 유해제품관련도; 후원목적; 후원효과; 사회공헌도; 우수성; Corporate image; Harmful items relevance; Sponsorship purpose; Sponsorship effectiveness; Social contribution; Excellence
C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11, no.4, pp 2147 - 2163
Pages
17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ume
11
Number
4
Start Page
2147
End Page
216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0328
ISSN
1229-2354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권 대학생 698명(남학생 347명, 여학생 351명)을 대상으로 후원기사가 실린 시나리오를 자극물로 처치하여 후원효과를 검증하였다. 조작변인은 기업이미지(긍정/부정), 유해제품관련도(저관련/고관련), 후원목적(순수/상업)의 세 차원의 요인설계방안을 실시하였으며, 후원효과로는 이미지개선, 호감도, 구매의사, 사회공헌도, 우수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호감도와 구매의사에서는 긍정적인 이미지의 기업이나 유해제품과 관련이 적은 기업, 순수한 목적으로 후원하였을 때, 그 후원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미지개선이나 사회공헌도, 우수성에서의 기업이미지의 긍정성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공헌도를 고려할 때 후원목적은 기업이미지나 유해제품관련도와의 상호작용과 관계없이 일정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기업이미지와 유해제품관련도 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우수성을 보았을 때, 기업이미지나 후원목적은 효과가 없으며, 단지 유해제품관련도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실질적인 후원전략에 유해제품관련도라는 부적이미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ung, Tae Yun photo

Jung, Tae Yun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