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집착행동의 구성요인 및 집착행동이 이성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A search for components of limerence and its mediation effects in romantic relationships

Authors
우아미박준성정태연
Issue Date
Dec-2008
Publisher
한국여성심리학회
Keywords
집착행동; 애착; 사랑; 파트너 행동; 신뢰감; 교제기간; 관계지속; 성차; limerence; suspicion; fear of rejection; jealousy; longing and imperfection; oversensitive; individual facto(attachment); love factor; partner factor; gender category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여성, v.13, no.4, pp 521 - 546
Pages
26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여성
Volume
13
Number
4
Start Page
521
End Page
54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0330
DOI
10.18205/kpa.2008.13.4.007
ISSN
1229-0726
Abstract
본 연구는 이성관계에서 발생하는 집착행동의 개념과 구성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집착행동을 매개로 관계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통합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집착행동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개방형 설문을 통해 집착행동의 개념과 구성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집착행동은 파트너에게 강하게 몰두하거나 의존하는 것으로 파트너의 사랑을 잠시라도 느끼지 못할 때 불안해하거나 계속 사랑을 확인하려는 행동으로 개념을 정의하였으며, 구성요인은 파트너에 대한 의심, 거부에 대한 두려움, 질투, 외로움과 불완전감, 파트너의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과민성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2에서는 집착행동을 매개로 관계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집착행동은 남성, 여성 모두에게 관계지속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집착행동의 경향성은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집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여성과 남성 간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사랑수준과 파트너의 행동(친밀감 불편, 보살핌, 호감표현)은 여성의 집착행동 유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남성의 집착행동 유발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집착행동을 구체적으로 개념화 시켰으며, 집착행동이 애정관계에 부정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남녀차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ung, Tae Yun photo

Jung, Tae Yun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