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인적자원개발 개념 분석을 통한 정체성 탐색open accessAn Exploratory Research on Identit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Using Concept Analysis

Authors
백평구이희수
Issue Date
Sep-2009
Publisher
한국농·산업교육학회
Keywords
human resource develop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definition; identity; critic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인적자원개발; 인적자원개발 개념; 정체성; 비판적 인적자원개발
Citation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41, no.3, pp 201 - 228
Pages
28
Journal Title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ume
41
Number
3
Start Page
201
End Page
22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2906
DOI
10.23840/agehrd.2009.41.3.201
ISSN
1738-7361
2713-8976
Abstract
인적자원개발 개념의 명료화는 그 학문의 정체성과 입지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전제가 된다는 문제의식 아래 이 연구는 착수되었다. 분석 철학의 이론적 토대 위에 개념 분석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개념 분석과 인적자원개발의 학문적 정체성을 연결하고자 시도하였다. 개념 분석을 위하여 ① 국내외 문헌 연구, ② 개념 분석 항목의 추가, ③ 개념 유형 범주화의 세 가지 접근 방법을 적용하여 총 42개의 인적자원개발 개념 정의를 종합하였다. 빈도 분석을 통해 열 가지 인적자원개발 개념의 핵심이 되는 용어를 이끌어내고 인적자원개발 개념을 대변하는 네 가지 명제를 기술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가 드러내는 현재까지의 주요한 인적자원개발 개념 정의 논의의 제한점을 네 가지로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인적자원개발 개념이 드러내는 정체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안적인 접근 방법을 통해 인적자원개발 정체성 논의의 차원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인적자원개발의 학문적 정체성 논의를 위해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의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학문적 엄격성과 함께 이론과 실제를 넘나드는 응용학문으로서 인적자원개발이 균형을 모색하는 타협점으로서, 현실 참여에 보다 개방적인 인적자원개발 정체성이 요구됨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delineate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this study tried to synthesize definition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using three approaches - literature reviews, considering additional factors, categorizing definitions. As a result, forty two definition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were gathered. And we came up with ten key words in relation to HRD within four dimensions and they introduced four propositions of HRD in this study. Ten key words are as follows: performance, training and development, learning, psychology, system theory, economics, organization, individual, improvement, effectiveness. Four issues from concept analysis are followed by propositions. These propositions and issues revealed the identity of HRD as an applied science. This study proposed three alternative dimensions for identity of HRD. These are disciplinary bias such as education and business administrati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versus individual learning, and the consensus on HRD policy issues in a broader societal context. At last, this study argu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ritical HRD approach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RD identities emerged from definitions. Also, there needs to balance between rigor in academics and HRD as an applied discipline of theory and practice. These proposes an alternative identity of HRD, that is openness for the participation towards real world, which is conceptually similar to praxis.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Hee Su photo

Lee, Hee Su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