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기업에서의 창조성 교육 프로그램 분석open accessThe Analysis of Creativity Training Programs in Corporations

Authors
백평구이희수
Issue Date
2009
Publisher
한국인력개발학회
Keywords
Creativity; Creativity training program; Social creativity; Creative HRD; 창조; 창의; 창조성 교육 프로그램; 사회적 창조성; 창조적 인적자원개발
Citation
HRD연구, v.11, no.3, pp 97 - 123
Pages
27
Journal Title
HRD연구
Volume
11
Number
3
Start Page
97
End Page
12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3325
DOI
10.18211/kjhrdq.2009.11.3.005
ISSN
1229-5086
Abstract
창조 사회, 창조 경제, 창조 자본, 창조 계급이란 ‘창조’란 말의 홍수 가운데 기업은 창조성을 인적자원개발 차원에서 새롭게 바라보고 있다. 기업이 창조성에 관심을 갖는 배경은 기존의 신학과 교육의 영역이라는 ‘가치’ 중심의 창조성에 대한 시각에서 경제와 경영 영역과 같은 ‘효용’ 중심 시각으로의 변화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인적자원개발의 맥락에서 창조성의 동향과 실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이 미진한 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특히 기업에서의 창조성에 대한 논의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창조성 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인적자원개발 실제와 연계함으로써 창조성의 특징과 한계를 통해 창조성과 인적자원개발의 연계 필요성과 전략, 나아가 창조적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 교육 프로그램 분석, 그리고 대응 분석을 활용하여 창조적 인적자원개발에 관해 접근하였다. 창조성 연구 동향이 드러내는 개인, 교육 및 심리학적 편향성을 토대로 개인의 창조적 잠재 능력 고양을 위한 조직 차원에서의 창조성 주제를 도출하였다. 또한 사회적 창조성에 기초하여 대안적 창조성 개념화를 통해 창조성과 인적자원개발이 연계된 창조적 인적자원개발 논의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Changes for creative society had corporations be creative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imply how to connect creativity and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trends and issues of creativity research and practices. Thematic analysis which is one of the types of document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identify the major themes and issues relevant to creativity in the context of corporations. In addition to this thematic analysis, this study also utilized the correspondence analysis to verify the patterns and relations among themes. Analysis was conducted with 22 researches and 28 training program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needs to be balanced viewpoint to enlarge the individual-centered creative potentials to organization-wide change and effectiveness. Second, the alternative conception of creativity which is based on social creativity and aesthetics is critical to build the foundations of the connection of creativity and HRD, i.e. creative HRD. Lastly, the themes of diversity,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creativity are proposed in the creativity training programs to bridge the gap between scholar-practitioners in HRD.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Hee Su photo

Lee, Hee Su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