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시대의 변화를 통해 바라본 정서 형성으로서 환경 조형물에 대한연구Research on environmental structures as a means of shaping sentiments viewed through changes of ages

Authors
차재영양태근권혁인
Issue Date
Apr-2010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environmental sculpture; 환경 조각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11, no.2, pp 291 - 302
Pages
12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11
Number
2
Start Page
291
End Page
30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3892
ISSN
1598-8635
Abstract
시대의 변화를 통해 바라본 정서 형성으로서 환경 조형물에 대한연구를 통해 먼저 시대적 변화의 양상들을 구분하고 동시대의 사회, 문화적 현상이 무엇을 기반으로 구축되고 정립되었는지를 대략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1역사관을 통해 바라본 서구와 한국의 시대적 특성 을 바탕으로 개별자와 공공에 대한 인식의 틀을 제시 하고자 한 것이 조명의 이유라 할 수 있다. 조각의 개념적 변화와 기념비와의 상관관계를 조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념비가 가지고 있는 상징수단으로서 위상성을 획득한 조각의 한계를 지적하고자 하였다. 근대를 통해 탈 근대적 개념에서 바라본 환경에서는 근대의 문맥과 탈근대의 재 문맥화의 과정을 통해 고립된 매체주의와 순수주의의 한계를 지적하고 예술과 일상의 만남 미학과 삶의 만남에 가능성과 중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또 건축과 조각과의 관계를 통해 바라본 환경조형물에서 건축의 공간 구조와 구축적 형태미 ,조각의 유기체적 조형미의 상호 교류에 대해 논하였으며, 환경과 조각에서 승화된 조형미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5환경과 조각의 해석에서는 생명 공간으로서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였으며 조각의 해석에 성찰적 측면의 중요성을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6과학과 예술의 만남을 통해 환경조형물이 어떻게 상징화 되며 정서를 형성하여 도시의 정서적 균형을 잡아나가야 되는지 언급한 후 공간조직의 특성과 작품제작의 특성으로 구분하여 설명 하였다. 아울러 허버트리드가 언급했듯이 전통예술에서 제시되었던 조각적 해석이 동시대의 과학을 통해 어떻게 구현되고 변형되며 재 적용되고 있는지 현대 작가들을 통해 조명하였다. 끝으로 결론에서 장르를 넘어 통섭과 교섭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College of Art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won, Hyeog In photo

Kwon, Hyeog In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서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