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기업 임원들이 비자발적 퇴직 이후 겪는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A qualitative study on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conglomerates executives after involuntary retirement

Authors
구자복정태연
Issue Date
Nov-2019
Publisher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Keywords
사회적 배제; 욕구위협모델; 대기업 임원; 비자발적 퇴직; 퇴직 후 적응; 질적 연구; social exclusion; need-threat temporal model of ostracism; executives of conglomerates; involuntary retirement; adaptation after being retired; qualitative research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25, no.4, pp 249 - 277
Pages
29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ume
25
Number
4
Start Page
249
End Page
27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7242
DOI
10.20406/kjcs.2019.11.25.4.249
ISSN
1229-0661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 상황에 직면한 개인의 심리를 즉각적(reflexive), 숙고적(reflective) 그리고 체념(resignation) 단계로 설명한 Williams(2009)의 욕구위협모델(need-threat temporal model of ostracism)에 기초하여, 대기업 임원들의 비자발적 퇴직을 알아보았다. 대기업 퇴직 임원 15명을 심층면담하고 그 내용을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욕구위협모델의 즉각적 단계에서 그들은 퇴직 직후 ‘인지적 공황’과 ‘정서적 공황’을 경험했다. 퇴직 통보라는 예기치 못한 충격적 경험으로 인해 사고의 마비를 가장 먼저 경험했으며, 그 다음 나타나는 부정적 정서를 인지적으로 억압하여 드러내지 않으려 했다. 숙고적 단계에서 퇴직자들은 ‘과거 자신이 가장 잘 나가던 모습으로 완전한 복원’을 꿈꾸지만, 이런 기대가 좌절되는 상황에서 ‘비현실적 사고’, ‘자기기만’과 ‘책임전가’로· 인해 현실에 더욱 부적응하게 되었다. 체념단계에서, 장기간의 욕구충족 실패는 그들에게 패배감과 무력감을 경험하게 했다. 이러한 결과를 Williams의 욕구위협모델과 비교 및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결과가 국가, 기업 그리고 퇴직자에게 은퇴에 대한 대처 관련 시사점을 논의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ung, Tae Yun photo

Jung, Tae Yun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