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 아동의 선택적 신뢰 발달: 5세 아동이 4세와 달리 정보제공자의 연령을 정확도보다 중시할 때Informant’s Age can Trump Accuracy in Selective Trust in Korean 5-year-olds but not in 4-year-olds

Authors
범지민최영은
Issue Date
Mar-2020
Publisher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Keywords
selective trust; past accuracy; probability comparison; age; development; cultural influence; 선택적 신뢰; 과거 정확도; 확률 비교; 연령; 발달; 문화적 영향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33, no.1, pp 53 - 64
Pages
12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ume
33
Number
1
Start Page
53
End Page
6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7831
DOI
10.35574/KJDP.2020.3.33.1.53
ISSN
1229-0718
Abstract
정보제공자가 과거에 얼마나 정확하게 정보를 제시했는지는 선택적인 신뢰의 판단에서 성인과 아동 모두가 고려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한국과 미국의 만 3-5세 아동들은 성인이더라도 과거 정확도가 0%이면 과거 정확도가 100%인 또래 아동을 더 신뢰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제공자의 과거 정확도가 덜 극단적인 비교 상황(25%대 75%)에서 한국의 만 4-5세가 상대적으로 정확한 또래 아동(4번 중 3번 물체 명칭을 정확히 말함)과 상대적으로 부정확한 성인(4번 중 1번만 물체 명칭을 정확히 말함) 중 누구를 더 신뢰하는지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4세 아동은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비교적 정확한 또래 정보제공자를 성인보다 신뢰하였다. 반면에 5세 아동은 또래 아동보다 상대적으로 부정확한 성인 정보제공자를 신뢰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관련한 첫 단계 연구 결과로 추가 검증이 필요하지만, 우선적으로 한국 아동이 성장 과정에서 연장자를 존중하는 문화에 노출되어 신뢰성 판단에서 정보제공자의 연령을 중시하기 시작할 가능성을 고려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적 영향은 정보제공자의 과거 정확도의 대비가 확률적으로 극단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관찰될 수 있는 경향성일 가능성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Young On photo

Choi, Young On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