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가상놀이의 신체활동에 따른 유아들의 공간개념 인식차이의 효과The Effects of Children’s Spatial-Perception Ability on the Physical Activity with the Pretend Play

Authors
김숙이이선미
Issue Date
Nov-2019
Publisher
미래유아교육학회
Keywords
가상놀이; 신체활동; 공간개념 인식; Pretend Play; Physical Activity; Spatial-Perception Concept
Citation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26, no.4, pp 1 - 26
Pages
26
Journal Title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ume
26
Number
4
Start Page
1
End Page
2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1121
DOI
10.22155/JFECE.26.4.1.26
ISSN
1229-3083
Abstract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들이 공간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도우며 공간추리능력, 시각지각력, 회상 및 유아들의 전반적인 공간지각력 발달에 근원적인 도움을 주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도구는 Perner, Kohlmann, & Wimmer(1984)의 연구에서 사용된 그림도구와 한권의 그림이야기책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의 I시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남아 16명과 여아 16명으로 총 32명이며 실험집단의 유아 16명(그림 이야기책에 관심도가 많은 유아들)과 비교집단의 유아 16명(동작이나 신체표현에 관심도가 많은 유아들)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가상놀이의 신체활동에 따른 유아들의 공간개념 인식이 공간추리능력의 범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유아들의 가상놀이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공간개념 인식차이에 대한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의 공간개념 인식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상놀이의 신체활동에 따른 유아들의 공간개념 인식이 시각적 기억 및 회상의 범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보면 두 집단 간의 인식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상놀이의 신체활동에 따른 유아들의 공간개념 인식이 성별에 따라 나타난 척도에서는 모두 남아보다 여아의 공간개념 변별력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이 선호하는 가상놀이에 따른 신체활동이 공간지각능력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교수방법이라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un Mi photo

Lee, Sun Mi
사범대학 (사범대학)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