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인도 국가 간 AEO-MRA 상호인증 구축이 수출입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the Mutual Certification of AEO MRA between Korea and India on the Performance of Import and Export Companies

Authors
권승하정재우이동준
Issue Date
Dec-2019
Publisher
한국관세학회
Keywords
Korea-India; AEO-MRA; customs administration; a non-tariff barrier; customs performance; 한-인도; AEO-MRA; 관세행정; 비관세장벽; 기업성과
Citation
관세학회지, v.20, no.4, pp 247 - 266
Pages
20
Journal Title
관세학회지
Volume
20
Number
4
Start Page
247
End Page
26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4502
ISSN
1229-7445
Abstract
최근 2017년 4월부터 한국과 인도 사이의 수출입안전관리 우수공인업체 상호인정협정(AEO-MRA; Authorized Economic Operator-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이 전면 이행(발효)되었다. 기존 인도시장의 높은 비관세장벽으로 수출업체의 통관애로가 컸던 상황에서 협정 이행의 중요성이 나타난다. 본 연구는 한-인도 AEO-MRA체결에 대한 혜택요인을 도출하고 기업성과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비관세장벽을 활용하여 요인들 간 조절적 영향을 검정하고자 한다. (사)한국AEO진흥협회 회원사 리스트에 기초한 92부의 설문표본을 실증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EO-MRA 혜택(신속성)이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가졌으며, 둘째. AEO-MRA 혜택(관세행정 역량)이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가졌다. 셋째, 비관세장벽은 신속성과 기업성과 간에 조절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비관세장벽에 대한 적극적 수용태도와 신속한 통관을 가능케 하는 업무효율성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Trade & Logist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