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성과 놀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분석 연구A Study on the Social Recognition of Children’s Creativity and Playing through Big Data

Authors
유효인문가영
Issue Date
2019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창의성; 놀이; 빅데이터; 네트워크 분석; 유아 창의성 교육; Creativity; Play; Big data; Network analysis; Children’s Creativity Education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19, no.12, pp 23 - 51
Pages
29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19
Number
12
Start Page
23
End Page
5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5143
DOI
10.22251/jlcci.2019.19.12.23
ISSN
1598-2106
Abstract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아 창의성과 놀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핌으로써, 놀이를 통한 창의성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Textom 사이트를 통해 ‘창의성+유아’, ‘놀이+유아’, ‘창의성+유아+놀이’를 검색어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국내 유입율 1위 Naver 포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6부터 2018년 동안의 블로그, 뉴스, 카페, 지식in의 데이터 약 15MB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정제한 뒤 단어 빈도를 기준으로 상위 키워드 50개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창의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교육’, ‘프로그램’과 많은 관련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놀이는 ‘자격증’, ‘2급’, ‘취득’등의 키워드와 높은 상관을 보여 ‘창의성’의 분석결과와 차이가 존재했다. 마지막으로 유아 창의 놀이는 ‘발달’, ‘교육’, ‘프로그램’과 ‘숲’, ‘자연’, ‘사고력’, ‘상상력’, ‘집중력’등의 단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유아 창의 놀이와 관련된 교육 및 프로그램의 적용 방법 및 교육 매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운영되는 유아 창의-놀이 관련 프로그램 분석과 더불어 부모 또는 일반인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질적으로 우수한 ‘유아 창의-놀이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