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사회의 계층귀속감과 상향이동의식 변화: 연령, 기간 및 코호트 효과를 중심으로Dynamics of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nd Upward Mobility Consciousness in Korea: Time Trends and Age-Period-Cohort Effects

Authors
이왕원김문조최율
Issue Date
Oct-2016
Publisher
한국사회학회
Keywords
inequality; class identification; upward mobility; age; period; cohort; generation; APC; 불평등; 계층귀속감; 상향이동; 연령; 기간; 코호트; 세대; APC모형
Citation
한국사회학, v.50, no.5, pp 247 - 284
Pages
38
Journal Title
한국사회학
Volume
50
Number
5
Start Page
247
End Page
28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5659
ISSN
1225-0120
Abstract
이 연구는 1999년부터 2015년까지의 한국인의 주관적 계층귀속감과 상향이동의식의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중상층의식으로 측정한 계층귀속감은 자신의 경제적 자원에 근거한 사회적 위계에 대한 인식이며, 상향이동의식은 사회이동의 가능성에 대한 인식으로 한국 사회 기회구조의 개방/폐쇄성에 대한 개인수준의 종합적 판단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의식을 연령-기간-코호트로 분해함으로써, 경제위기 이후 불평등 인식의 변화 추세와 내적 동학을 살핀다. 이때 연령은 생애주기에 따른 사회적 시간을 대변하며, 코호트는 특정 사회변동의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는 세대적 시간, 그리고 기간은 경제위기 이후 한국사회의 모든 구성원에게 부여되는 경제사회적 상황 변화를 대변한다. 사회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 APC-D 모형의 핵심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층귀속감과 상향이동의식의 분포 양상은 매우 상이한 경향을 보이며, 연령, 기간, 코호트에 따라 매우 이질적으로 분화 되어있다. 중상층의식의 경우 연령효과가 강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세대내 상향이동의식의 경우에도 연령효과가 가장 큰 영향을 보였고, 기간효과도 소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세대간 상향이동의식의 경우에는 코호트효과가 결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연구진은 시간에 따른 평균적 변화 추이만을 고려하던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벗어나 한국사회 불평등 인식의 복잡한 내적 동학을 분석하고, 그 사회적 함의를 상론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Yool photo

Choi, Yool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