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딥러닝 기반 언어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자 쓰기 평가의 자동 점수 구간 분류 -KoBERT와 KoGPT2를 중심으로-Automatic Score Range Classification of Korean Essays Using Deep Learning-based Korean Language Models -The Case of KoBERT & KoGPT2-

Authors
조희련이유미임현열차준우이찬규
Issue Date
2021
Publisher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Keywords
딥러닝; 언어모델; 한국어 쓰기 답안지; KoBERT; KoGPT2; 자동 점수 구간 분류; Deep Learning; Language Model; Korean Essays; KoBERT; KoGPT2; Automatic Score Range Classification
Citation
한국언어문화학, v.18, no.1, pp 217 - 241
Pages
25
Journal Title
한국언어문화학
Volume
18
Number
1
Start Page
217
End Page
24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0927
ISSN
1738-2793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딥러닝 모델'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자료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평가 점수'를 어느 정도 유사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304편의 한국어 쓰기 자료와 각각에 대한 평가 점수를 KoBERT와 KoGPT2로 학습시킨 후 그것이 인간 채점자(한국어 교사)의 평가 점수를 어느 정도 유사하게 예측하는지 실험하였다. 학습 데이터는 주제에 따라 '직업'과 '행복'으로 구분하였고, 점수에 따라 4종 레이블을 부착하였다. 7겹 교차 검증을 통한 실험 결과, KoBERT에서는 '직업' 데이터에서 48.8%, '행복' 데이터에서 65.2%의 분류 정확도를 나타냈다. KoGPT2에서는 같은 데이터에 대해 각각 50.6%와 58.9%의 분류 정확도를 나타냈다. 더불어, 모든 주제를 통합한 데이터에서는 KoBERT와 KoGPT2에 대해 각각 54.5%와 46.5%의 분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어 쓰기 자료에 대한 자동 채점 시스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GPT-3의 한국어 모델이 개발되는 등의 기술 발전이 이루어진다면, 이 연구에서 시도한 한국어 자동 채점 시스템도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ETC > 1. Journal Articles
Da Vinci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Chan Kyu photo

Lee, Chan Kyu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