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거주지에 따른 자산 격차에 관한 연구 -주택 보유여부를 중심으로-Regional Disparities in Household Wealth according to Home Ownership

Authors
김지원마강래
Issue Date
Jun-2021
Publisher
대한부동산학회
Keywords
수도권; 지역 격차; 자산 격차; 패널모형; Seoul Metropolitan Area; Regional Gaps; Asset Gaps; Panel Model
Citation
대한부동산학회지, v.39, no.2, pp 5 - 28
Pages
24
Journal Title
대한부동산학회지
Volume
39
Number
2
Start Page
5
End Page
2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2837
DOI
10.37407/kres.2021.39.2.5
ISSN
1225-1054
2713-6981
Abstract
2015년 이후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의 주택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다. 반면에 비수도권 지역의 주택가격의 변화는 상대적으로 그다지 크지 않았다. 수도권 주택가격의 상승 에는 다양한 요인이 맞물려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수도권으로의 일자리 및 인구 집중 현상’ 과 관련이 깊다. 기존 문헌에서는 이러한 수도권으로의 집중화 현상이 거주지에 따른 자산 격차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왔다. 특히, 일부 연구에서는 ‘주택자산’을 중심으로 자산 격차가 심화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지만, 이를 실증하는 연구는 진행된 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차(1998년)~22차(2019년)의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주택 보유여부 측면에서 거주지가 개인(또는 가구) 단위의 자산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집단과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집단 간 자산 격차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산 격차에는 ‘주택자산’이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무주택자에게도 수도권 거주에 따른 자산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단지 수도권에 거주한다는 사실만으로 거주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보다 많은 자산을 보유할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자산 격차의 시간적 변화를 공간적 맥락으로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ynamic aspects of regional disparities in household net wealth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household net wealth have been investigated among the two groups: people who have lived in the SMA(Seoul Metropolitan Area) and people who had lived in non-SMA during the case study period. The regional net wealth disparities between the two were analyzed us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KLIPS) from 1998 to 2019. The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home ownership and its impact on the accumulation of household net wealth.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eople who lived in SMA have higher asset level than those of who lived in non-SMA. The asset gaps between two groups have widened according housing ownership.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clearly showed that the level of assets is relatively higher for the owner of the house. However, further analysis that compares net assets of non-home owning households, the residents of SMA have achieved greater level of net wealth than those of non-SMA, indicating the place of residence itself has an important impact of the accumulation of net wealth.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Real Estat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Ma, Kang-Rae photo

Ma, Kang-Rae
사회과학대학 (도시계획·부동산 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