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 사회의 불공정성과 그 변화 가능성에 대한 인식Perception on Social Injustice and its Potentiality for a Change in Korean Society

Authors
장민희최유진정태연
Issue Date
May-2022
Publisher
한국문화융합학회
Keywords
Just; Unjust; Unfairness; Social Justice; and generation gap; 공정성; 불공정성; 차별; 사회정의; 세대 차이; 문화
Citation
문화와융합, v.44, no.5, pp 709 - 730
Pages
22
Journal Title
문화와융합
Volume
44
Number
5
Start Page
709
End Page
73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8287
DOI
10.33645/cnc.2022.5.44.5.709
ISSN
1225-0422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인이 공정성과 불공정성을 인식하는 맥락을 탐색하고, 불공정성의 원인, 변화 가능성, 대처 방식등을 질적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7명의 성인 남녀를 인터뷰하여 그 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이 진술한 불공정성은 기회, 평가, 그리고 보상의 차원에서 범주화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특혜, 편견, 불공정성 개선의 실패, 불합리한 처벌, 그리고 비합리적 제도나 정책과 같은 상황에서 불공정을경험했다. 그에 따른 결과로, 정서적으로는 부정 정서의 지속, 정서적 둔감, 학습된 무기력, 그리고 막연한 희망 등을 경험했다. 행동적인 반응으로는 불공정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거나 회피하고 용인하는 두 경우 모두가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불공정의 원인으로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 모두를 언급했으며, 그 해결방안에서도 개인적으로 대화, 소통, 개인의 인식 개선과 함께 사회의 제도적 차원과 시스템 문제를 지적하는 경우가 비슷하게 있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세대와 성별의 차이가 뚜렷한 경우는 없었다. 다만 4~50대 여성이 다른 세대에 비해 여성으로서 겪는 불공정에 대한 언급을 좀 더 했다. 또한, 다른 세대와 다르게 50대는 한국 사회의 변화 가능성을 좀 더 높게평가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한국 사회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연결해서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plores the context in which Koreans’perception on social injustic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A total of 77 adult men and women were interviewed and their contents were analyzed. Result showed that perceived social injustice stated by the participants could be categorized as in terms of opportunity, evaluation, and reward. Specifically,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experienced injustice in situations such as preferential treatment, prejudice, failure in reforming injustice, unreasonable punishment, and irrational systems or politics. Emotional response to such experiences were lasting negative sentiments, emotional stolidity, learned helplessness, and ambiguous hope. As for the behavioral response, both active coping and evasive avoidance appeared. Participants pointed out that enhancing individual communication and improving awareness along with making changes on institutional level and improving systematic problems of society as the solution for social injustice. Overall, there was not any clear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 and gender. However, women in their 40s and 50s mentioned more about their experience of social injustice they face as being women than other generations. Also, unlike other generations, participants in their 50s evaluated that there are higher chances of making changes in Korean society.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ung, Tae Yun photo

Jung, Tae Yun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