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만 5세 유아의 자율적 규칙 정하기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A Case Study on Autonomous Rule-Making Process for Five-Year-Old Children

Authors
이해민이승하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Keywords
교실 규칙; 자율적 규칙 정하기; 자율성; classroom rules; autonomous rule-making; autonomy
Citation
유아교육학논집, v.26, no.4, pp 299 - 323
Pages
25
Journal Title
유아교육학논집
Volume
26
Number
4
Start Page
299
End Page
32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9839
DOI
10.32349/ECERR.2022.8.26.4.299
ISSN
1229-5809
Abstract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자율적 규칙 정하기 과정이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고그 과정에 참여한 유아와 교사의 변화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6명과 본 연구의 연구자인 담임교사 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3개월 동안 유아의 일상생활과 놀이에 필요한 규칙을 정하고 변경하는 민주적 의사결정 과정을 경험하였다. 연구자는 규칙 정하기와 관련된 중ㆍ소집단 토의를 중심으로 한참여관찰기록, 녹화 및 녹음자료, 면담자료, 문헌자료, 연구자 저널을 수집ㆍ분석하였다. 자율적규칙 정하기는 유아의 일상생활과 놀이 속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규칙은 '나누기 규칙', '놀이 규칙', '안전 규칙'으로 구분되었고, 규칙의 성격에 따라 규칙 정하기의 과정이 다르게 나타났다. 규칙을 정하는 과정에서 교사는 기존의 계획을 변경하는 것에 대한 불안함으로 유아에게 선택의 자유를 주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유아는 자신의 선택을 믿지 못하고 교사가 문제를 대신 해결해 주기를 바라기도 하였다. 유아는 자율적 규칙 정하기 경험을 통해 자신의 요구를 깨닫고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태도를 형성해 나갔다. 교사는 규칙은 유아가 무언가를 스스로 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임을 인식하였고, 유아의 자유로운 선택을 존중하는 교사의 역할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자유로운 선택을 존중하는 유아 교실을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autonomous rule-making process of five-year-old children emerges and identifies the changes in the children and a teacher who participated in the process. The research participants (26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charged teacher) were engaged in a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of making and changing rules for three months.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participants’ observations in small and middle-size group discussions, the teacher’s self-reflective notes, and the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Autonomous rule-making continuously occurred in children’s daily lives and play. Rules were categorized into “sharing rules”, “playing rules” and “safety rules” while the process of rule making differe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rules. In the rule-making process, the teacher ha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giving the children the freedom to choose because of the unease in changing scheduled plans. The children expressed distrust in their own decisions and demanded the teacher’s solution to their problems. The children realized their own needs, actively expressed their opinions, and formed an attitude of respect for others through their autonomous rule-making experiences. The teacher recognized that the rules were a tool that allowed children to do something on their own and established the role of the teacher in respecting the children’s own decision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practice in early-childhood classrooms in which children’s own decisions are respecte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eung-ha photo

Lee, Seung-ha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