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과 미국의 야립광고 크리에이티브 측면에 대한 비교 연구: 문화, 광고소구, 형태, 디자인 차원에서open accessThe Study on the Creative Comparison of Billboard Advertising between Korea and U.S. : Culture, Advertising Appeal, Shape and Design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Creative Comparison of Billboard Advertising between Korea and U.S. : Culture, Advertising Appeal, Shape and Design
Authors
심성욱변혜민
Issue Date
Aug-2017
Publisher
한국광고PR실학회
Keywords
옥외광고; 야립광고; OOH advertising; billboard advertising
Citation
광고PR실학연구, v.10, no.3, pp 167 - 195
Pages
29
Indexed
KCI
Journal Title
광고PR실학연구
Volume
10
Number
3
Start Page
167
End Page
19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048
DOI
10.21331/jprapr.2017.10.3.007
ISSN
2005-2618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옥외광고의 종류인 야립광고의 형태와 소구 및 표현방식 , 문화 차원을 고려하여 한국과 미국의 야립광고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먼저 , 한국과 미국의 야립광고 형태와 제품군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다음으로 한국과 미국의 야립광고 소구방법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 한국과 미국 모두 이성적 소구방법이 높게 나타났다 . 이 외에도 한국과 미국의 야립광고 표현전략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한국과 미국 모두 브랜 드광고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한국은 110개(82.7%), 미국은 153개(85.0%)로 나타났다 . 디자인 측면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모델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과 미국 모두 모델이 등장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한국에 비해 미국의 캐릭터 활용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 컬러에 있어서는 한국의 경우 하얀색을 중심으로한 야립광고가 59개(4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 미국은 파란색을 중심으로 한 야립광고가 59개(32.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 다음으로 빨간색과 기타가 각각 39개 (21.7%) 순으로 나타나 한국에 비해 미국이 다양한 컬러를 활용하여 야립광고를 집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문화차원에서 한국에서는 집단주의 메시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 미국에서는 개인주의가 높게 나타났다 . 또한 , 한국에서는 텍스트 활용이 높게 나타났으며 , 미국에서는 텍스트와 비주얼 빈도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 이와 같이 두 나라 간의 야립광 고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 of billboard advertising between Korea and U.S.. Finding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shape of billboard advertising between Korea and U.S.(χ 2 = 23.616, p < .001).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products shown in advertising between Korea and U.S.. While insurance and securities products (24.1%) are shown mostly in Korea, service products (26.1%) are shown mostly in United States. Third, there is a difference in advertising appeals between two countries. Rational appeals are used more than emotional appeals in two countries. However, emotional appeals were 3.0% in Korea and 43.3% in U.S.. Fourth, there is a difference in expression between two countries (χ 2 = 46.594, p < .001). Fifth, brand advertising are most shwon in both Korea (82.7%) and U.S.(85.0%). Sixth, there is a difference in design between two countries (χ 2 = 25.436, p < .001). White color are mostly used in Korea (44.4%) and blue color (32.8%) are mostly used in U.S.. A variety of colors are used in U.S. and a few color is used in Korea. This study finds that there are differences of billboard advertising between Korea and U.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 > DEPARTMEN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him, Sung Wook photo

Shim, Sung Wook
ERICA 커뮤니케이션&컬처대학 (ERICA 광고홍보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