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소득불평등에 대한 기회불평등의 기여도 분석: 2000년대 한국경제를 중심으로An Analysis on the Contribution of the Inequality of Opportunity to Income Inequality: Evidence from Korea in the 2000s

Other Titles
An Analysis on the Contribution of the Inequality of Opportunity to Income Inequality: Evidence from Korea in the 2000s
Authors
김준일서환주신우진
Issue Date
Mar-2016
Publisher
한국질서경제학회
Keywords
Inequality of Opportunity; Income Inequality; Parametric Approach; 기회불평등; 소득불평등; 모수적 접근
Citation
질서경제저널, v.19, no.1, pp.41 - 67
Indexed
KCI
Journal Title
질서경제저널
Volume
19
Number
1
Start Page
41
End Page
6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5536
DOI
10.20436/OEJ.2016.19.1.041
ISSN
1226-654X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자료 2000년~2012년 개인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사회의 기회불평등을 모수적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2000년~2012년 기간 동안 전체 연령(30세~60세) 분석의 기회균등지수는 0.04~0.052 정도이며 전체 소득불평등에 대한 기회불평등의 기여정도는 약 18%~23% 수준이다. 즉 전체 소득불평등의 약 1/5정도가 기회불평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우리나라의 기회불평등에서 성별차이가 가족환경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한국사회에서 환경적 조건에 의해서 결정되는 기회불평등은 노동시장에서 성별 임금격차가 매우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여성간의 기회불평등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남녀를 합한 전체의 기회불평등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0대 남성의 경우 10년 전에 비하여 기회불평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30대 남성의 기회불평등 증가를 직접효과(환경이 직접적으로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와 간접효과(환경이 노력을 매개로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지난 10년간 30대 남성의 기회불평등 증가의 83.3%가 직접효과에 기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아버지의 배경 등의 환경이 기회불평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결과에 대한 정책적 함의로서 소득불평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정책, 고용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 그리고 공교육에 대한 지출확대 등을 제시하고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 > DIVIS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EO, Hwan Joo photo

SEO, Hwan Joo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 (DIVIS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