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의 흥행 영화 리뷰에 포함된 감정 동사 이용 특성 연구A Structural Analysis of the Movie Reviews
- Other Titles
-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Movie Reviews
- Authors
- 박지연; 전범수
- Issue Date
- May-2014
- Publisher
- 한국콘텐츠학회
- Keywords
- Emotional Expression; Movie Review; Cluster Analysis; 흥행영화; 영화 리뷰; 연결망
- Citatio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14, no.5, pp 85 - 94
- Pages
- 1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Volume
- 14
- Number
- 5
- Start Page
- 85
- End Page
- 94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25006
- DOI
- 10.5392/JKCA.2014.14.05.085
- ISSN
- 1598-4877
2508-6723
- Abstract
- 본 연구는 한국 및 외국 흥행 영화에 대한 네티즌 리뷰를 중심으로 네티즌 리뷰에 사용된 감정 동사와 흥행 영화와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네티즌 리뷰의 특성은 첫째, 한국 및 외국 흥행 영화 모두 ‘재미있다’(한국:339회, 외국:452회)의 감정 동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는 네티즌들이 영화를 판단할 때 재미를 가장 큰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둘째, 한국 및 외국 흥행 영화에 사용된 감정 동사를 군집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한국 영화는 재미를 기준으로 몰입이나 감동 등 감정적 동사를 기준으로 영화들이 군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국 영화는 재미있다와 없는 영화 등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vie reviews based on emotional expressions, using the structural analysis.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ost cited emotional expression was "fun". Fun was the important discriminator for evaluating movies. Secondly, cluster analysis results found that although Korean movies were clustered by many emotional expressions such as fun, immersion and impression, foreign movies were grouped by joust an emotional expression including fun. Internet users tended to divide foreign movie into two kinds of movies such as fun movie and boring movies.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COMMUNICATION > DEPARTMENT OF MEDIA & SOCIAL INFORMATICS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