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집분석을 통한 중소기업 온라인 마케팅 지원 수혜기업의 세분화 전략에 관한 연구 : 창업기업 홍보마케팅 지원사업(HIT500) 참여기업 중심으로A Study via Cluster Analysis on Strategy for Segmentation of SMEs under the Government Support for Online Marketing : Focusing on HIT500 Participating SMEs
- Other Titles
- A Study via Cluster Analysis on Strategy for Segmentation of SMEs under the Government Support for Online Marketing : Focusing on HIT500 Participating SMEs
- Authors
- 이준호; 박광호
- Issue Date
- Jun-2012
- Publisher
- 국제e-비즈니스학회
- Keywords
- Cluster Analysis; Cluster Categorization and Segmentation; Online Marketing Supporting Program; Strategy for Segmentation; 군집분석; 온라인마케팅 지원; 세분화 전략; 군집분류; 군집유형화
- Citation
- e-비즈니스연구, v.13, no.4, pp 164 - 194
- Pages
- 31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e-비즈니스연구
- Volume
- 13
- Number
- 4
- Start Page
- 164
- End Page
- 194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4341
- DOI
- 10.15719/geba.13.4.201211.164
- ISSN
- 1229-9936
2466-1716
- Abstract
- 본 연구는 “창업기업 홍보마케팅 지원사업(HIT500)”의 367개 수혜기업을 대상으로 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군집분석을 통하여 군집별 유형화 및 지원기업 세분화전략을 제시하였다. 계층적 군집분석과 K-means를 통하여 3개의 최적 군집 수를 도출하였으며, 3개의 군집에 대해 사업지원 이후 제품인지도 개선, 온라인마케팅 이해도 증대, 온라인마케팅 활용도의 지원성과 및 기술 통계학적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각 군집별 특성을 교차분석하여, 군집분류에 따른 지원기업 세분화전략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창업초기 기업일수록 온라인마케팅에 대한 지원성과가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창업이후 성장, 성숙단계로 갈수록 온라인마케팅 지원에 대한 성과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창업초기의 기업이 속해 있는 집단이 온라인의 마케팅 지원필요성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성장, 성숙단계로 접어들수록 온라인 마케팅에 대한 관심보다는 온․오프라인 마케팅의 통합적 지원 및 신규판로 개척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분류된 3군집의 유형별 지원기업 세분화에 따른 군집별 지원전략을 토대로 향후 중소기업 온라인 마케팅지원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줄 수 있으며, 효과적인 맞춤화 지원을 통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 및 지원의 효율성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suggests by cluster analysis the strategy for cluster categorization and segmentation of 367 SMEs participating in HIT 500, a government support program for online marketing. By conducting Ward analysis, a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K-means analysis, a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 found out the optimized number of clusters, 3, and for the 3 clusters, we conducted cross tabulation based on not only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but also analyses of the understanding of online marketing, applicability of online marketing, and improvement of product awareness, thereby suggesting the strategy for segmentation of SMEs for each cluster.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for beginning SMEs, the effect of online marketing support on the firms was large but for grown-up and mature SMEs, the effect of online marketing support was small.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firms in beginning phase are more in need of online marketing support than others, and for grown-up and mature SMEs, packaged support for both on and off-line marketing and support for opportunities to exploit new market are more necessa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suggest a new direction for online marketing support program of government and it is expected that customized support would lead to the improvement of SMEs in their competitiveness and result in more efficient running of the online marketing support program.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 > DIVIS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