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인 창조기업의 광고콘텐츠산업 적용에 관한 연구 : 기술 및 경영 자원 요인을 중심으로A Conceptual Study on Applications of 'Creative-Me Company' to Advertising Contents Industry : Focused on Technology and Managerial Resources Factors

Other Titles
A Conceptual Study on Applications of 'Creative-Me Company' to Advertising Contents Industry : Focused on Technology and Managerial Resources Factors
Authors
심성욱김운한
Issue Date
Aug-2012
Publisher
한국광고학회
Keywords
Creative Me-Company; Advertising Contents; Culture Technology; Art-Collaboration; Storytelling; Brand Experience; 1인창조기업; 광고 콘텐츠; 문화기술; 아트 컬레버레이션; 스토리텔링; 브랜드체험
Citation
광고학연구, v.23, no.6, pp.53 - 81
Indexed
KCI
Journal Title
광고학연구
Volume
23
Number
6
Start Page
53
End Page
8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5046
ISSN
1225-0554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인창조기업 개념을 광고 콘텐츠 산업 관점에서 이해함으로써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광고제작 산업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창의성을 촉진하기 위한 요소로서 기술(technology)과 자원(resources) 요인의 지원과 배분에 관하여 1인창조기업 종사자와 중소 광고대행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창조기업의 광고산업적 접목에 대해 사업성의 전망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1인 창조기업으로 적합한 광고 분야로는 아트 컬레버레이션, 영상광고, 스토리텔링, 스마트폰과 인터넷과 관련한 콘텐츠, 브랜드체험형 아이디어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고콘텐츠와 관련한 1인 창조기업의 활성화에 필요한 사항으로 재정적인 지원과 광고수주 시스템의 개선 등이 많이 나타났다. 셋째, 정부와 업계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1인창조기업 지원기관 설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으며, 주요 지원항목으로는 자금 및 재정 부문과 디지털콘텐츠 및 광고 제작 기술, 전문인력 확보와 활용 등 협업 시스템 관련 부문이 주로 언급되었다. 또한 ‘광고 콘텐츠 제작기술’ 지원에 비해, 창업 자금 지원과 거래선 확보 등 경영에 관한 실질적인 항목을 우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집된 내용을 바탕으로 디지털부문 콘텐츠기술 지원 및 경영 지원을 아우르는 통합적 콘텐츠지원 기관 설립 및 협업시스템을 제안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 > DEPARTMEN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him, Sung Wook photo

Shim, Sung Wook
COLLEGE OF COMMUNICATION (DEPARTMEN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