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공의 성 라퓨타>, 환멸과 의지 사이<Laputa: Castle in the Sky>, between disillusion and will
- Other Titles
- <Laputa: Castle in the Sky>, between disillusion and will
- Authors
- 박기수
- Issue Date
- Nov-2011
- Publisher
- 대중서사학회
- Keywords
- MiyazakiHayao; <Laputa:CastleInTheSky>; Storytelling; StudioGhibli; postapocalypse; action adventure film; intertextuality; 미야자키 하야오; <천공의 성 라퓨타>; 스토리텔링; 지브리 스튜디오; 포스트묵시록; 모험활극; 상호텍스트성
- Citation
- 대중서사연구, no.26, pp 365 - 390
- Pages
- 26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대중서사연구
- Number
- 26
- Start Page
- 365
- End Page
- 390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8765
- DOI
- 10.18856/jpn.2011..26.013
- ISSN
- 1738-3188
- Abstract
- 본고는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천공의 성 라퓨타>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천공의 성 라퓨타>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1) 모험활극과 포스트묵시록의 이율배반적인 결합의 양상과 이유를 파악하고, 2) 상호텍스트성의 동조(同調)와 이격(離隔), 3) 라퓨타의 다의성을 캐릭터와 중심 갈등 구조로 파악함으로써 그 의미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해 보았다. 이 작품이 가진 명랑한 포스트묵시록의 이율배반성은 모험활극적인 요소가 지배소로 활용되었고, 움직임 자체의 즐거움에 주목한 결과다. 하지만 모험활극적인 성격이 강화됨으로써 포스트묵시록과의 이율배반적인 위험한 공존을 시도한 것인데, 이것이 서사의 완성도 면에서 뚜렷한 결함을 드러냈음을 알 수 있었다. <천공의 성 라퓨타>는 포스트묵시록 3연작의 자장 안에서 주제적인 차원의 동조보다 제유적 구조의 동조에 비중을 둠으로써 투명한 액션을 중심으로 한 모험활극의 즐거움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이 작품은 무스카를 중심으로 인간에 대한 환멸을 드러내고 파즈와 시타를 중심으로 생명에의 의지를 드러내고 있지만, 어느 것 하나에 중심을 둔다기 보다는 둘 사이에서 진동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후 <모노노케 히메>에서 이러한 진동은 갈등으로 첨예화됨으로써 삶의 의지로 수렴되는 결과를 낳는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 DEPARTMENT OF CULTURE CONTENTS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