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모노노케 히메もののけ姬>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Study on Storytelling Strategy of <Princess Mononoke>

Other Titles
Study on Storytelling Strategy of <Princess Mononoke>
Authors
박기수
Issue Date
Mar-2010
Publisher
인문콘텐츠학회
Keywords
모노노케 히메; 스토리텔링; 상호텍스트성; 미야자키 하야오; 지브리 애니메이션; 영웅의 여행 모형; 타자성; 이미지 보드; 수평적 공간; 향유; <Princess Mononoke>; Storytelling; intertextuality; Miyazaki Hayao; GHIBLI animation; The Hero’s Journey; Otherness; image board; horizontal spaces; enjoyment
Citation
인문콘텐츠, no.17, pp 533 - 553
Pages
21
Indexed
KCI
Journal Title
인문콘텐츠
Number
17
Start Page
533
End Page
55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0339
ISSN
1975-4469
Abstract
미야자키 하야오의 <모노노케 히메>는 작품성과 대중성 면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 작품이다. 이 작품은 기존의 연구는 지브리의 홍보성 주변 정보에 매몰되거나 미야자키 하야오의 필모그래피의 맥락을 전제로 소재중심 혹은 주제론적인 탐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모노노케 히메>를 정치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스토리텔링 전략을 탐구했다. <모노노케 히메>의 스토리텔링 전략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그것은 ① 다양한 캐릭터의 계속적인 등장은 세 개의 삼각구도를 활용한 수평 공간 대립의 세분화를 위한 것이라는 점, ② 영웅의 여행담의 전형성을 따르면서도 조셉 캠벨이 이야기하는 ‘동굴 가장 깊은 곳으로 진입’을 중심으로 2막이 과도하게 길게 형성됨으로써 욕망의 혼란을 강화하는 구조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 ③ 표면적으로는 자연과 인간의 대립 극복을 말하고 있지만 심층적으로는 타자성의 인정을 통한 생명 추구라는 주제를 구현하고 있는데, 다만 그것이 다양성은 마련했으되 깊이(depth)는 확보하지 못했다는 점, ④ 세 층위의 상호텍스트성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향유를 극대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야자키 하야오는 원작, 각본, 감독의 1인 3역을 하기 때문에 시나리오가 아닌 이미지보드만으로도 작화를 진행할 수가 있고, 그 결과 텍스트만으로 서사적 밀도와 완성도를 확보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낸다. 이것을 세 층위의 상호텍스트성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극복하는 전략은 브랜드 확보라는 전제를 필요로 하지만 매우 유용한 전략으로 판단된다.
Miyazaki Hayao’s 〈Princess Mononoke〉 is the successful work with the result of noticeable success in aspects of literary value and popularity. The existing studies on the work is usually about only advertising minor information, or just material centered and subjective research assuming the context of his filmography. Therefore 〈Princess Mononoke〉 was exquisitely analyzed and its strategy for storytelling was researched in this article. The four strategies for storytelling of 〈Princess Mononoke〉 can be found. 1) Various characters consistently appear to subdivide conflicts of horizontal spaces using 3 cornered structure. 2) Though it follows typical ‘The Hero’s Journey’, it aims at the structure strengthening confusing desire, forming excessively long act 2 like ‘Approach to the Inmist Cave’ Joseph Campbell referred. 3) Although it tells seemingly about overcoming the conflict between nature and human, it embodies the theme, the pursuit of life by recognizing Otherness. But it ensured its variety not depth. 4) It maximizes enjoyment, vitalizing mutual text on 3 layers. Miyazaki Hayao can draw only with image board not scenario, as he plays triple roles as an original author, a dramatist, and a director. As a result he has a limit to what his work doesn’t ensure narrative density, and perfection only with text. The strategy is useful to overcome its problem with mutual text on the 3 layers, and it’s also necessary for ensuring brand.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 DEPARTMENT OF CULTURE CONTENT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ki soo photo

Park, ki soo
ERICA 커뮤니케이션&컬처대학 (ERICA 문화콘텐츠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