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미세먼지 어플리케이션(앱)의 정보 제시 형식이 위험 인식, 앱 사용 의도, 예방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감정 휴리스틱과 기준점 휴리스틱의 적용open accessThe Effects of Fine Dust Mobile App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 on Risk Perception, Intention to Use App,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The Application of Affect and Anchoring Heuristic

Other Titles
The Effects of Fine Dust Mobile App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 on Risk Perception, Intention to Use App,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The Application of Affect and Anchoring Heuristic
Authors
이준영주도희신지원백혜진
Issue Date
Apr-2019
Publisher
한국PR학회
Keywords
미세먼지; 미세먼지 어플리케이션; 휴리스틱; 위험 인식; 앱 사용 의도; 예방 행동 의도; fine dust; mobile application; affect heuristic; anchoring heuristic; risk perception; intention to use application (app);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Citation
홍보학연구, v.23, no.2, pp 111 - 140
Pages
30
Indexed
KCI
Journal Title
홍보학연구
Volume
23
Number
2
Start Page
111
End Page
14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165
DOI
10.15814/jpr.2019.23.2.111
ISSN
1229-2869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미세먼지 앱의 위험 정보 제시 형식이 공중의 개인적/사회적 위험 인식, 앱 사용 의도와 예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불확실한 상황에서 제한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람들의 직관적인 판단과 의사 결정을 유도하는 휴리스틱 개념중에서 본 연구는 감정과 기준점 휴리스틱을 적용하여, 2 정보 제시 형식(이미지 대 숫자) x 2 기준점 제시 여부의 피험자 간 설계로 온라인 실험을 실시하였다(N = 336). <결과> 공분산 분석(ANCOVA) 결과, 숫자 제시 조건에 비해 이미지 제시 조건에서 사회적 위험 인식은 낮고 앱 사용의도는 높았으며, 기준점 미제시 조건에 비해 제시 조건에서 앱 사용 의도가 높았다. 이미지 제시 * 기준점제시 조건은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앱 사용 의도가 가장 높았던 반면, 숫자 제시 * 기준점 미제시 조건에서 앱 사용 의도가 가장 낮았다. 이미지 제시와 기준점 제시 조건은 예방 행동 의도에직접적인 효과를 미치지는 못했으나, 이미지 제시 조건의 경우 앱 사용 의도를 통한 간접적 효과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미지와 기준점을 활용하는 등 미세먼지 앱을 통한 효과적인 위험 커뮤니케이션전략을 도출하고, 휴리스틱의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isk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 on personal- /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 intention to use fine dust mobile application,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Methods Using affect and anchoring heuristics as theoretical framework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 2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s (image vs. number) × 2 anchors (present vs. absent), between-subjects design (N = 336). Results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indicat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image presentation format condition had lower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 and higher intention to use the app, than did the number presentation format condition. (2) The anchor-present condition had higher intention to use the app, than did the anchor-absent condition. (3) The presentation format and anchor had interaction effects on intention to use the app, such that the image + anchor-present condition, had the highest intention to use the app. (4) The image condition had effects on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indirectly, through intention to use the app. Conclusions Our results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by applying the affect and anchoring heuristics to the fine dust issue, and practical implications, with regards to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strategies, particularly with the use of fine dust apps.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 > DEPARTMEN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ek, Hye Jin photo

Paek, Hye Jin
ERICA 커뮤니케이션&컬처대학 (ERICA 광고홍보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