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Understanding and efficiency: Habermas's concept of communication relief이해와 효과: 하버마스의 커뮤니케이션 안도의 개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이해와 효과: 하버마스의 커뮤니케이션 안도의 개념에 관한 연구
Authors
Hove, Thomas
Issue Date
May-2008
Publisher
BLACKWELL PUBLISHING
Keywords
EPISTEMIC DIMENSION; DEMOCRACY
Citation
COMMUNICATION THEORY, v.18, no.2, pp 240 - 254
Pages
15
Indexed
SCIE
SCOPUS
Journal Title
COMMUNICATION THEORY
Volume
18
Number
2
Start Page
240
End Page
25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2531
DOI
10.1111/j.1468-2885.2008.00321.x
ISSN
1050-3293
1468-2885
Abstract
This commentary calls attention to a topic neglected in the scholarly reception of Habermas's work -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relief. In his recent public sphere theory, he classifies different media forms that are necessary for coordinating different types of social action. He identifies three such media forms: linguistic agreement, steering media, and generalized communication. Although communication scholars acknowledge his ideas on linguistic agreement, they have overlooked those on steering media and generalized communication. Accordingly, this analysis focuses more on the latter two media forms, which fall under the broader concept of relief mechanisms. Extending the media theories of Talcott Parsons, Habermas identifies four types of relief mechanisms: money, power, influence, and value commitment. Money and power perform steering media functions that promote efficiency. Influence and value commitment perform generalized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promote not only efficiency but also understanding. Implications for normative theories of mass-mediated democratic communication are discussed.
본 에세이는 하버마스의 공헌중 관심을 받지 못한 개념인 커뮤니케이션 안도의 개념에 대한 연구이다. 하버마스의 최근의 공론장이론에서, 그는 다른 형태의 사회적 행위를 조정하는데 필요한 여러 미디어 형태를 분류하였다. 하버마스는 세가지 미디어 형태를 인지하였는바, 그들은 언어적 동의, 조종적 미디어, 그리고 일반적 커뮤니케이션이다. 비록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이 그의 언어적 동의에 관한 이념을 인지하고 있더라도, 그들은 조종적 미디어와 일반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해서는 관심을 보이지 않아왔다. 따라서, 본 에세이는 광범위하게 안도구조의 개념으로 분류될 수 있는 이들 두 미디어 형태에 대한 연구이다. Talcott Parsons의 미디어 이론들을 확대하여, 하버바스는 네가지 안도 구조 형태를 동일시하였는바, 그들은 돈, 권력, 영향력, 그리고 가치 위임이다. 돈과 권력은 효과성을 증진하는 기능을 당하는 조종적 미디어를 형성한다. 영향력과 가치 위임은 효과성뿐만 아니라 이해를 증진하는 일반적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형성한다. 대중적 중재의 민주적 커뮤니케이션의 규범적 이론들의 함의들이 논의되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 > DEPARTMEN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ove, Thomas Britten photo

Hove, Thomas Britten
ERICA 커뮤니케이션&컬처대학 (ERICA 광고홍보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