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향유의 전략화Animationi Literacy, Mapping out Strategy for Enjoyment

Other Titles
Animationi Literacy, Mapping out Strategy for Enjoyment
Authors
박기수
Issue Date
Nov-2006
Publisher
한국학연구소
Keywords
animation; literacy; eleborating strategy for enjoyment; Pixar animation; storytelling; character; One Source Multi Use; Toy StoryⅠ;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향유의 전략화; 픽사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캐릭터; One Source Multi Use; <토이 스토리Ⅰ>
Citation
한국학연구, no.25, pp 45 - 70
Pages
26
Indexed
KCICANDI
Journal Title
한국학연구
Number
25
Start Page
45
End Page
7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5134
ISSN
1225-195X
2713-5640
Abstract
수 있다(박기수: 2006 B, 30).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주목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디즈니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던 만큼 향유자들은 디즈니의 압도적인 스토리텔링 방식과 향유 유형에 학습되어 있다는 점이다. 가장 창조적인 집단임을 자부하는 픽사 역시 이와 같은 향유자의 선행 학습에 대해서는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지만, 동시에 역설적으로 그만큼 극복해야할 부분으로 뚜렷하게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을 전제로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전략과 대타적 관계 속에서 픽사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전략을 파악하면, “1) 성장담을 근간으로 한다는 점, 2) 디즈니 이데올로기의 배타성을 희석시키면서도 건전한 가치를 지향한다는 점 등에서는 디즈니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있지만, 3)소재적으로 보다 다양해졌고, 4)캐릭터의 다수화와 다양화를 꾀하고 있으며, 4)공간의 성격화를 탄력적으로 적용하고 있고, 5)즐거움을 극대화하기 위한 탄력적 서사보다는 안정적인 3막 구조를 지향한다는 점 등에서는 뚜렷한 차별성”(박기수: 2006 A, 86)을 견지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토이 스토리Ⅰ>은 3D 애니메이션으로 1995년 픽사와 디즈니가 합작해서 만든 첫 작품이다. 비교적 디즈니의 전략을 많이 계승하고 있으면서도 이전에 디즈니가 다루지 않았던 세계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참신하다. 장난감들의 우정과 정체성을 주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즐거움, 환상, 마술, 상상력, 선의 승리, 낙관주의”(이경숙: 1999)를 지향하는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특성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지만, 인간이 아닌 장난감의 세계를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분명한 차이를 드러낸다. 이러한 양상은 <토이 스토리 Ⅱ>에서 장난감의 정체성과 성장의 문제를 보다 진지하게 다룸으로써 주제가 보다 심화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 두 작품은 독립된 작품이면서도 연작으로서의 성격을 갖게 되고, 상호텍스트성을 확보한다. 먼저 각 작품의 스토리텔링을 분석해보자.
This article is for researching animation literacy within the framework of enjoying strategically. Various characteristics of enjoyment is fully considered in this article, which is based on animation's typical distinctions. Therefore practical literacy is premised to produce creatively at the view of cultural contents. Animation literacy was researched to map out strategy for enjoyment, focused on story telling. Since popularity of anim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utilizing enjoyment, it is tried to arrange elements to utilize enjoyment, and reflect it in text as internal element. It can be called elaborating strategy for enjoyment. I confirmed that detailed analysis and various point of view can result in the width and depth of literacy, because strategy is elaborated, focused on the storytelling. The character of Pixar storytelling, process of elaborating strategy for enjoyment, and method for literacy were researched in this article focused on the animation 〈Toy Story I〉. The strategy of Pixar animation storytelling can be researched as opposed to one of Disney animation storytelling. The character of Pixar animation storytelling is 1) based on story of growth, 2) aiming at the healthy worth while weakening Disney ideology's exclusivism, which is succeeding to Disney successfully. 3) picking more various material, 4) trying numerous and various character, 5) adapting the characteristic of place flexibly, 6) moving toward stable 3 acts not flexible narrative to maximize enjoyment. In addition it has strategy of various storytelling to maximize interaction and last time of enjoyment, which should be researched in literacy. Animation literacy should be analyzed in detail and the people enjoying contents is to be researched consistently at the various point of view.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 DEPARTMENT OF CULTURE CONTENT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ki soo photo

Park, ki soo
ERICA 커뮤니케이션&컬처대학 (ERICA 문화콘텐츠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