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 유역의 확률론적 가뭄 전이 분석Probabilistic Analysis of Drought Propagation Over The Han River Basin Under Climate Change

Other Titles
Probabilistic Analysis of Drought Propagation Over The Han River Basin Under Climate Change
Authors
Muhammad, Nouman Sattar김지은이주헌김태웅
Issue Date
Feb-2019
Publisher
대한토목학회
Keywords
기후변화; 전이; 베이지안 네트워크; 가뭄; Climate change; Propagation; Bayesian network; Drought
Citation
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v.39, no.1, pp 155 - 163
Pages
9
Indexed
KCI
Journal Title
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Volume
39
Number
1
Start Page
155
End Page
16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528
DOI
10.12652/Ksce.2019.39.1.0155
ISSN
1015-6348
2287-934X
Abstract
The knowledge about drought propagation is very important in accurate estimation of hydrological drought characteristics and efficientdevelopment of early warning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d a probabilistic relationship of drought propagation based on Bayesiannetwork model for historic period and for future projection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RCP 8.5 over the Han River basi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pagation rate and lag time have increasing and decreasing trends from the historic period of 1967-2013 to the future periods of 2014-2053 and 2054-2100 under climate change, respectively. The probabilistic results of Bayesian model revealed tha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lag time varied spatially and decreased when the intensity of meteorological drought changed from moderate to severe and extreme condition during 1967-2013. The values of probability increased in the first future period of 2014-2053 in several sub-basins and slight decreased in the second period of 2054-2100. The proposed probabilistic results will be useful for the decision makers to develop related policies with an appropriate insight toward the future drought status.
가뭄 전이는 수문학적 가뭄 특성에 대한 정확한 평가 및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베이지 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한강 유역의 가뭄 전이의 확률론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거 관측자료와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8.5 자료 를 활용하였다. 가뭄 전이 및 지체시간을 분석한 결과, 1967~2013년 기간에 비해 2014~2053년 기간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2054~2100년 기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적용하여 지체시간의 발생확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67~2013년 동안에 기상학적 가뭄이 보통가뭄에서 심한가뭄 또는 극한가뭄으로 변화함에 따라, 지체시간의 발생빈도가 공간적으로 변화하 거나 감소하였다. 이러한 확률은 2014~2053년에 몇몇 유역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2054~2100년에 다시 감소하였다. 본 연구 에서 제안된 확률론적 가뭄 전이 결과는 향후 미래 가뭄 상태에 대한 정책에서 의사결정시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Tae Woong photo

Kim, Tae Woong
ERICA 공학대학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