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CEO이미지의 요인구조 및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우리나라 기업의 PR, 광고, 그리고 마케팅실무자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중심으로Identifying Components of CEO Image by Developing Measurement Scale of CEO Image

Other Titles
Identifying Components of CEO Image by Developing Measurement Scale of CEO Image
Authors
이경렬
Issue Date
Mar-2005
Publisher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Keywords
CEO image; measurement scale; construct; sub-dimension; scale item; validity; CEO 이미지; 척도; 구성개념. 하위차원; 측정항목; 타당성.; CEO image; measurement scale; construct; sub-dimension; scale item; validity
Citation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v.13, no.1, pp 161 - 181
Pages
21
Indexed
KCICANDI
Journal Title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Volume
13
Number
1
Start Page
161
End Page
18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6410
ISSN
1598-4494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CEO이미지의 요인구조 파악과 측정항목들을 개발함으로서 CEO이미지가 구성개념(construct)으로서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CEO이미지가 어떠한 하위차원의 개념들 및 측정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6단계의 척도개발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들 6단계 과정은 탐색적 조사, 설문조사, 상관관계분석 및 신뢰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예측타당성 검증을 포함한다. 연구결과 CEO이미지는 3개의 차원들과 8개의 측정항목들을 포함한 구성개념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세 개의 하위차원들은 자질, 성품, 그리고 외적특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세 개의 하위차원들은 각각 자질 4개(리더십, 결단력, 비전, 섭외능력), 성품 2개(정직성, 신뢰감), 그리고 외적특성 2개(학력, 외모)을 포함하여 총 8개의 측정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사에 대한 태도 및 기업이미지에 대한 CEO이미지의 예측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CEO이미지는 기업이미지 및 회사에 대한 태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하위개념들 가운데 ‘회사에 대한 태도’에 대한 ‘성품’변인의 표준화 회귀계수 값과, ‘기업이미지’에 대한 ‘자질’변인의 표준화회귀계수 값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회사에 대한 태도’ 및 ‘기업이미지’에 대하여 각각 강력한 예측 변인들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CEO image as a construct by identifying components of CEO image. Specifically, this study developed the measurement scales of CEO image to identify sub-dimensions and scale items composing of CEO image. This study used the step-by-step scale development process composed of 6 multi-stages to develop the new measurement scale. This multi-stage approach include exploratory study, self-administered survey,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CEO image was composed of three sub-dimensions and 8 scale items. Three sub-dimensions included quality, personality, and outward characteristics, which further contained 8 scale items such as 4 items in quality (readership, resolution, vision, personal network), 2 items in personality(honesty, reliability), and 2 items in outward characteristics(educational background, appearance). This study also checked predictive validity of CEO image to find out the CEO image effectiveness for ‘attitude toward a company’ and ‘company image’. It turned out that CEO image was strong predictors of ‘attitude toward a company’ and ‘company image’ and thus a good indicator of CEO image effectivenes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PUTING > SCHOOL OF MEDIA, CULTURE, AND DESIGN TECHN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