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통사구조와 상적의미를 통한 일본어[V-続ける]문과 대응하는 한국어 문의 비교고찰

Authors
박용일
Issue Date
Dec-2017
Publisher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Keywords
통사구조; 상적 의미; [V-続 , ける]문; [V-기-를-계속하다]문; [계속-V]문; Syntactic Structure; Aspect Meaning; “V-tuzukeru” Sentence; “V-gi-reul-gesokhada” Sentence; “gesok-V” Sentence
Citation
비교일본학
Indexed
KCI
Journal Title
비교일본학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8418
ISSN
20925328
Abstract
본 연구는 일본어의 [V-続ける]문과 이와 대응하여 나타나는 한국어문의 통사구조들과 상적의미인 한계성 혹은 비한계성에 대해서 명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V-続ける]문과 이와 대응하여 나타나는 한국어문인 [V-기-를-계속하다]문, [계속-V]문의 파생구조가 상승구조인지 컨트롤구조인지에 대해서 명시하였으며, 상적의미인 한계성과 비한계성이 각 문들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일본어의 [V-続ける]문과 이와 대응하는 한국어의 [V-기-를-계속하다]문, [계속-V]문의 통사구조와 상적 의미에 대한 분석은 5장 <표>와 같이 정리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5장 <표>로부터 일본어의 [V-続ける]문과 한국어 [V-기-를-계속하다]문, [계속-V]문이 대응하여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서, [V-続ける]문과 [V-기-를-계속하다]문이 심층구조에서 상호 복문구조를 갖고, 파생구조에서는 상호 컨트롤구조를 공유하기 때문이며, 상적의미가 비한계성이라는 의미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제시하였다. [V-続ける]문과 [계속-V]문이 상호 대응하여 나타나는 이유는 오로지 상적의미에 있어서 비한계성이라는 의미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syntactic structures and aspect meanings of the Japanese “V-tuzukeru” sentence and its corresponding Korean sentences. This study also showed cause for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V-tuzukeru” sentence and Korean sentences. Especially the anlysis of the structures is focused on the derivation structures, whether it is a raising structure or a control structure. And the aspect meanings of the Japanese “V-tuzukeru” sentence and its corresponding Korean “V-gi-reul-gesokhada” sentence, “gesok-V” sentence are presented by telic and atelic. Through this analysis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yntactic structures and aspectual meanings of the Japanese “V-tuzukeru” sentence and the Korean “V-gi-reul-gesokhada”, “gesok-V” sentence can be represented by in Section 5 Table. Also, based on Table, this study explains the reason for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V-tuzukeru” sentence and the Korean “V-gi-reul-gesokhada”, “gesok-V” sentence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 DEPARTMENT OF JAPANESE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Yong il photo

Park, Yong il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DEPARTMENT OF JAPANESE STUDI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