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PBL 모형 기반 문학 작품 재구성 교수-학습의 가능성 모색Exploring the Possibility of Teaching-learning for Reconstruction of Literary Works Based on the PBL Model

Other Titles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Teaching-learning for Reconstruction of Literary Works Based on the PBL Model
Authors
한정민이은민류수열
Issue Date
Sep-2022
Publisher
한국문학교육학회
Keywords
Teaching & Learning; Problem Based Learning; Achievement standards; Reorganizing; 교수-학습; 문제 중심 학습; 성취기준; 재구성
Citation
문학교육학, no.76, pp.547 - 574
Indexed
KCI
Journal Title
문학교육학
Number
76
Start Page
547
End Page
57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73073
DOI
10.37192/KLER.76.15
ISSN
1229-487X
Abstract
작품 재구성 교수-학습을 PBL에 기반하여 운용하는 것은 성취기준 “[12문학02-05] 작품을 읽고 다양한 시각에서 재구성하거나 주체적인 관점에서 창작한다.”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전략의 소산이다. 재구성은 수용 활동이자동시에 생산 활동이므로, 이 성취기준 아래 운용되는 교수-학습에서는 작품 수용에서부터 재구성 결과물 생산에까지 이르는 동안 학생의 학습 동기를 어떻게긴 호흡으로 유지시킬지가 중요해진다. 따라서 학생의 자기 주도성을 바탕으로하는 참여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이 적극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때 참고하기에 적절한 교수-학습 모형이 PBL이다. PBL에서 문제란 학습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학습을 추동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문제 해결의 주도자는 학생이며 교사는 문제 해결의 보조자이다. PBL은 학습이 문제 해결로 이어지고, 또 문제 해결이 학습으로 이어지는 순환 고리를 만들면서 학생의 자기 주도적인 참여를 유인한다. 교수-학습을 매개하는 것이 대개 교과서라는 점에서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내 작품 재구성 관련 학습 활동을 검토하며, PBL이 소환될 만한 자리를 타진하였다. 재구성 활동 시 학생이 보다 자기 주도적으로 참여하도록 유인하려는 경우, 교사는 각별히 그의 수업 전문성을 발휘할 필요가 있는데 이 일환으로 PBL 을 소환할 수 있다는 말이다. PBL 기반 작품 재구성 교수-학습의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고자 김소월의 시<진달래꽃>을 제재로 삼아 작품 재구성 활동을 설계하고, 이를 충남 지역 한 고등학교 문학 수업에서 실제로 진행해 보았다. 그리고 유의미하게 나타난 학생반응을 소개하였다. 향후 PBL은 작품 재구성 교수-학습뿐만 아니라 학생의 자기주도성을 강조하는 기타 교수-학습에서도 유연하게 소환되리라 낙관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사범대학 > 서울 국어교육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Ryu, Su yeol photo

Ryu, Su yeol
COLLEGE OF EDUCATI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