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상상적(Imagery) 자극이 공연예술상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Influence of Imagery Appeal on the Attitude to and Purchase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Products

Other Titles
Influence of Imagery Appeal on the Attitude to and Purchase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Products
Authors
박지혜고정민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문화관광연구원
Keywords
심상; 심적 형상화 공연예술상품; 태도; 인지적 부담; Imagery appeal; Purchase intention; Performing Arts
Citation
문화정책논총, v.28, no.1, pp.197 - 222
Journal Title
문화정책논총
Volume
28
Number
1
Start Page
197
End Page
22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8829
DOI
10.16937/jcp.28.1.201401.197
ISSN
1738-1258
Abstract
이 연구는 상상적(imagery) 자극이 공연예술상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012년 대학생과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공연예술상품에 대한 상상을 유도했을 때 공연예술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도는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경험재적 성격을 지닌 공연예술상품에 대한 경험과 내용을 상상하도록 유도했을 때 소비자들을 설득하는 데 더 효과적임을 증명했다. 또한 인지적 부담(cognitive load)과 상상을 유도하는 자극유형 간 조절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나 인지적 부담에 따라 상상의 유도 효과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인지적 부담이 높을 때 앞서 나타난 상상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상상을 유도하는 광고의 사용 시 다른 인지적 업무가 이를 방해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이 연구는 공연예술상품에 대한 상상의 유도가 소비자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를 활용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했으며, 공연예술산업에 새로운 마케팅적 접근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향후에는 이러한 탐험적 연구를 바탕으로 공연예술상품에 대한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소비자 행동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문화예술경영대학원 > 문화예술경영전공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o, Jeong Min photo

Ko, Jeong Min
MBA in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Major in Culture and Art Management)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