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과학적 태도 수준 그룹에 따른 스토리텔링 기반 STEAM 교육의 효과 검증The Effect Verification of STEAM Education Based on Storytelling According to Scientific Attitude Level Group

Other Titles
The Effect Verification of STEAM Education Based on Storytelling According to Scientific Attitude Level Group
Authors
태진미
Issue Date
Apr-2013
Publisher
한국영재교육학회
Keywords
과학적 태도; 스토리텔링; STEAM 융합인재교육; 통합교육; Scientific attitude; Storytelling; Integrated Education;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Education.
Citation
영재와 영재교육, v.12, no.1, pp.5 - 28
Journal Title
영재와 영재교육
Volume
12
Number
1
Start Page
5
End Page
28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1683
DOI
10.17839/jksgt.2013.12.1.5
ISSN
1975-4949
Abstract
본 연구는 과학적 태도 수준 그룹에 따른 스토리텔링 기반 STEAM 교육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이다.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 수준에 따라 프로그램 수혜 전 후의 변화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진성과 끈기성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상승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상위집단과 중위집단에서는 창의성 영역이, 하위집단에서는 협동성 영역이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반면에 상위집단과 중위집단은 비판성 영역이, 하위집단은 자진성과 끈기성 요인이 상대적으로 낮게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사후 검정에서도 하위집단이 가장 높게 상승한 집단으로 나타났고 중, 상위집단은 상승수준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과학적 태도가 부진한 학생들에게도 STEAM 교육의 긍정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Major in Education for Multiply-gifed Childre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Tae, Jin mi photo

Tae, Jin mi
Graduate Schoo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