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아동의 증거성 추론 양상 재검토: 과제 관련성 및 증거성 위계Re-examining children’s evidential reasoning: task relevance and evidential hierarchy

Authors
김지수최영은김수진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Keywords
증거성 추론; 정보 확실성 판단; 인지 발달; 증거성 위계; 과제 관련성; evidential reasoning; evidential markers; evidential hierarchy; cognitive development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33, no.4, pp 65 - 79
Pages
15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ume
33
Number
4
Start Page
65
End Page
7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1031
DOI
10.35574/KJDP.2020.12.33.4.65
ISSN
1229-0718
Abstract
화자가 문미에 증거성 표지로 제공한 정보의 출처가 제삼자의 보고나 간접증거로 추론된 것일 때보다 직접경험일 때 더 믿을만하다고 판단 할 수 있는 능력은 만 6세에 발달한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만 3~4세에도 어휘로 출처를 전달받으면 증거성 추론이 어느 정도 가능하며, 간접보고의 출처가 명확할 경우 더 바른 추론이 가능하다는 보고들과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과제를 수행하여 아동이 이득을 얻을 수 있고, 세 개의 출처가 동시에 제시될 때 만 5, 6세 아동의 증거성 추론 능력을 재검토하였다. 아동에게 세 출처에 근거한 진술들(직접경험, 간접증거, 간접보고)을 들려주고, 가장 정확하다고 판단되는 증언에 따라 숨겨진 스티커를 찾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만 5, 6세 모두 직접경험의 진술이 가장 확실하다는 선택을 할 수 있었다. 또한, 간접보고의 정보를 간접증거로 추론한 정보보다 더 신뢰하는 경향성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제 상황에 따라서 만 5세에도 증거성 추론을 적절히 할 수 있으며, 아동들의 정보 신뢰 위계 양상이 증거성 위계가 제안한 것과 다르게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Young On photo

Choi, Young On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