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 양육자 발화의 질적 속성이 유아의 주의 지속과 어휘 습득에서 가지는 역할 탐색open accessExploring the effect of Korean caregiver speech quality on sustaining the child’s attention and vocabulary acquisition

Authors
김윤성최영은
Issue Date
Mar-2023
Publisher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Keywords
양육자; 입력 언어; 발화 질적 속성; 어휘 습득; 지속 주의; caregiver speech; input quality; sustained attention; vocabulary acquisition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36, no.1, pp 25 - 45
Pages
21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ume
36
Number
1
Start Page
25
End Page
4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7849
DOI
10.35574/KJDP.2023.3.36.1.25
ISSN
1229-0718
2671-6542
Abstract
양육자가 발달 초기 영유아에게 제공하는 언어 입력 자극은 양적, 질적으로 언어발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양육자 발화가 학습자의 주의를 지속시켜 유아의 학습을 돕는 기제일 것이라 제안되었다. 그러나 한국어에서는 양육자 입력 자극의 질적 속성이 유아의 주의를 끌어 언어습득을 돕는지에 대해 규명된 바가 없었다. 본 연구는 이 관계를 살피고자 만 15~20개월 된 자녀-양육자 24쌍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속 양육자의 발화를 관찰하였다. 양육자 발화를, 지시하는 대상이 적절한 (대)명사로 언급되었는지, 어떤 문장구조를 띄는지, 의사소통 의도가 무엇인지에 따라 세 범주의 질적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유아의 주의가 3초 이상 지속되는 구간에서 자주 관찰되는 질적 특성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지시 대상을 지칭하는 명사 언급 여부 및 의사소통 의도에 따른 질적 특성의 역할이 눈에 띄었던 미국의 자료와 달리, 한국 아동의 언어발달에는 양육자 발화의 구조적 특성이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시표현 중에서 평서문 사용은 지속 주의를 유도하였고, 54개월의 긍정적인 어휘습득을 예측하였다. 반면, 조각문은 주의를 끌고 유지하지 못하였고, 이후 아동의 어휘습득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는 주의 지속이 발화의 특성과 연결될 때 이후 습득을 지지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더불어 한국어 특성상 (대)명사가 영어보다 자주 생략됨에도 지시 대상의 언급을 생략하지 않은 문장 표현이 영어와 유사한 비율로 나타나 양육자가 자녀에게 제공하는 언어에서 생략을 덜 할 가능성도 관찰되었다.
The Input language provided to young learners play important roles in their language acquisition. Caregiver speech draws and sustains learners’ attention, and this sustained attention may facilitate word acquisition. The role of caregivers’ speech quality in sustaining learners’ attention and facilitating word acquisition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Korean. Twenty-four Korean mothers’ speeches provided for their 15-20-month-olds were analyzed to examine 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speech quality and sustained attention relate to concurrent and later vocabulary acquisition. Unlike English findings, syntax predicted later vocabulary acquisition, instead of the referential nature or communicative intent. Specifically, declarative use elicited sustained attention and positively predicted vocabulary growth, whereas sentence fragments were less likely to sustain attention and negatively predicted word growth. Interestingly, however, a similar proportion of overall referential speech was observed to that of English,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Korean caregivers may be less likely to omit referent mentions in infant-directed speech.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Young On photo

Choi, Young On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